Similar items
Reserved
$2.04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Jisun Tak Soba type Guiyang Buncheongsaagi Dawan Dado Tea utensils Chan utensils Vintage
무형문화재 지순탁 소바형 귀얄 분청사기 다완 다도구 차도구 빈티지
2 months ago
Category
AntiqueTranslate to English
사이즈 지름 14.7cm, 높이 6.2cm
1세대 도예가 인간문화재 도암 지순탁(지순택)池順鐸 선생님
지순탁 선생님 약력
1912年 서울 출생
1928年 보성고보 졸업.
1928年 고려청자기 연구착수
1931年 浅川伯教씨와 유종열씨께 지도 받음
1937年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오금리 도자기공장 경영
1944年 韓國 美術硏究所 入所
1949年 華角文庫 第1回 國展入賞
1954年 한국 문교부장관 문화인지정수령
1955年 韓國 國立博物館 國寶復元事業 完了
1957年 京畿道 利川郡 新屯面에 高麗陶窯設立
1968年 內務部長官賞 受領
1969年 경기도지사 우량상 수상
1970年 일본만국박람회 출품 국무총리로부터 표창상
1970~1990年 日本各地에서 個人展 및 招請展
1972年 日本帝國호텔 招請展示, 感謝狀 受領
1972年 NHK “韓國의 美”편에 소개됨
1973年 문화공보부장관께 표창상
1975年 日本 EXPO’ 75 沖縄國際海洋博覽會 出品
1981年 韓國社會敎育文化大賞
1984年 UNION대학 미술박사학위수여
1985年 平和統一文化財 特別功勞賞 受賞
1985年 전승공예대전 문공부장관상 수상
1988年 경기도 제4호 무형문화재지정
호는 도암(陶庵)이십니다.
1912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1928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현재의 보성고등학교)를 중퇴하셨습니다.
이후 전국의 가마터를 답사하며 도자기에 관한 지식을 쌓아갔으며 본격적으로 도자기를 공부하기로 결심하셨습니다.
1937년 경기도 여주시 오금리에서 직접 도자기 공방을 운영하고 이후에는 전국 각지를 전전하면서 도자기 연구와 제작을 계속하셨습니다. 1944년 한국미술연구소에 입소하였으며, 1949년 국전에서 입상하셨습니다. 1957년 경기도 이천군 신둔면에 고려도요를 설립하셨습니다. 이 도요는 훗날 지순탁요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이천도예촌을 대표하는 명문 도요 중 하나로 손꼽히게 되었습니다. 1970~1990년 일본 각지에서 많은 개인전과 초청전을 치르면서 일본에 우리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공헌하셨습니다.
1988년 12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호 기능보유자로 선정되었습니다. 1993년 9월에 사망하였으며 이듬해인 1994년에 일본 도쿄에서 그를 추모하는 유작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순탁요는 아들 지수구 선생님이 뒤를 잇고 계십니다.
1세대 도예가 인간문화재 도암 지순탁(지순택)池順鐸 선생님
지순탁 선생님 약력
1912年 서울 출생
1928年 보성고보 졸업.
1928年 고려청자기 연구착수
1931年 浅川伯教씨와 유종열씨께 지도 받음
1937年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오금리 도자기공장 경영
1944年 韓國 美術硏究所 入所
1949年 華角文庫 第1回 國展入賞
1954年 한국 문교부장관 문화인지정수령
1955年 韓國 國立博物館 國寶復元事業 完了
1957年 京畿道 利川郡 新屯面에 高麗陶窯設立
1968年 內務部長官賞 受領
1969年 경기도지사 우량상 수상
1970年 일본만국박람회 출품 국무총리로부터 표창상
1970~1990年 日本各地에서 個人展 및 招請展
1972年 日本帝國호텔 招請展示, 感謝狀 受領
1972年 NHK “韓國의 美”편에 소개됨
1973年 문화공보부장관께 표창상
1975年 日本 EXPO’ 75 沖縄國際海洋博覽會 出品
1981年 韓國社會敎育文化大賞
1984年 UNION대학 미술박사학위수여
1985年 平和統一文化財 特別功勞賞 受賞
1985年 전승공예대전 문공부장관상 수상
1988年 경기도 제4호 무형문화재지정
호는 도암(陶庵)이십니다.
1912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1928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현재의 보성고등학교)를 중퇴하셨습니다.
이후 전국의 가마터를 답사하며 도자기에 관한 지식을 쌓아갔으며 본격적으로 도자기를 공부하기로 결심하셨습니다.
1937년 경기도 여주시 오금리에서 직접 도자기 공방을 운영하고 이후에는 전국 각지를 전전하면서 도자기 연구와 제작을 계속하셨습니다. 1944년 한국미술연구소에 입소하였으며, 1949년 국전에서 입상하셨습니다. 1957년 경기도 이천군 신둔면에 고려도요를 설립하셨습니다. 이 도요는 훗날 지순탁요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이천도예촌을 대표하는 명문 도요 중 하나로 손꼽히게 되었습니다. 1970~1990년 일본 각지에서 많은 개인전과 초청전을 치르면서 일본에 우리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공헌하셨습니다.
1988년 12월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4호 기능보유자로 선정되었습니다. 1993년 9월에 사망하였으며 이듬해인 1994년에 일본 도쿄에서 그를 추모하는 유작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순탁요는 아들 지수구 선생님이 뒤를 잇고 계십니다.
Packaging
Premium packaging service
Learn MoreDelivery
Expected to arrive 7-14 days after ordered
Worldwide Shipping is available
Reliable delivery service with package tracking
Payments
Please note
Bungaejangter Inc. will not be held responsible for any liabilities arising in connection with any transactions between buyers and sellers on this application or website.
Ⓒ 2011-2023. Bungaejangter Inc. all rights reserved.
Korean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