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5
Ssangryongmun, large bronze mirror from the Goryeo Dynasty (Certificate of Authenticity)
고려시대 쌍룡문 대형동경(진품감정서)
4 months ago
Category
AntiqueTranslate to English
고려시대 쌍룡문 청동경 입니다
KBS진품명품 협찬 고미술협회 감정서 첨부로 진품의
설명은 드리지 않습니다
거대한 쌍룡이 튀어 나올듯 꿈틀대며 여의주를 쫓아 원을
그리듯 맴돕니다
중심부의 고리 주변은 연판문이 양각으로 각인 되어 있으
며 구름과 용 여의주를 표현해 보이며 동경의 테두리는
턱을 높게 말아 기품이 더해집니다
용의 상징성과 신분의 높은 지위를 표현한 왕실이나 궁궐의 청동제로 추정 되고 있습니다
평균적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의 동경과 비교시 크기나 두께 문양의 선명함등 보존의 상태가 월등 합니다
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상태로 바늘구멍 크기의 산화 흔적
이외는 깔끔하며 매우 온전한 박물관급 상태 입니다
참고사진의 심한 산화와 깨지고 문양도 알아보기 힘든 같은 고려시대의 동경과 크기와 두께 예술성을 비교해 보시라 함께 올렸습니다
일반적 동경의 사이즈는 약10~15cm 내외가 대다수 입니다~ 소개 올린 고려동경은 23cm 정도로 엄청난 크기라 보셔야 하겠으며 실물은 더욱 크게 보여 지실 겁니
다
여러분~
현대인은 누구나 거울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래전 신라의 여성들도 거울을 사용 했을까?
궁금 하시죠? 그렇지 않다가 정답 이라 보시겠습니다
자료에 의하면 거울(청동경)은 왕이나 그에 준하는 신분만 사용 되었다 합니다
왜? 신라에서 거울은 왕이나 왕자만 가질수 있었을까?
왕비의 고분이 분명한 황남대총 북쪽 무덤에서는 왜? 기물이 출토 되지 않았을까?
그이유는 청동기 시대 거울과 마찬가지로 제의적인 성격이 강했지만 그에 더하여 정치적 권위의 상징물 로서의 성격이 더욱 짙었다 하겠습니다
"삼국시대가 되면 국왕의 정치적 위상은 매우 높아진다
그는 자신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하여 조상이 하늘에서 내려 왔음을 강조 하기도 하고 정기적 으로 하늘과 조상에 제사를 지낸다 국왕은 제사를 주도 하였는데 기물은 국왕이 지닌 제의적 성격의 장식물 이었을 것이다"(자료발
췌)
그렇다면~화장용구 로서 거울은 언제 등장 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거울을 사용한 시기는 언제부터 였을까? 바로 고려시대 이다
고려시대 에는 우선 거울의 종류가 많으며 고리를 만들고
손잡이를 달아 경대를 멋지게 만들어 기물을 끼워 넣기도
했으며 이 때부터 거울은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매개체 가
아니라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지켜주는 화장용구로 쓰였다 보겠습니다~
즉 청동기 시대 부터 출현한 청동거울은 청동기인들은
온 대지를 밝게 비추는 태양을 숭배 했으며 거울에 반사 되어 눈부시게 빛나는 태양빛을 신비롭게 여겼고 그빛에는 하늘의 메세지가 담겨 있으며 지상에 사는 이들의 소망도 실을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 입니다
당시의 기물은 천상과 지상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 였다~
참고로~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에는 금은과 동금속의 가치가 채굴과 제련기술이 발달하지 못하여 현재의 가치 보다 귀했습니다
그러기에 예컨데 조선시대 쌍가락지 은반지를 현재의 은값만 생각해 비교 하시면 국보나 보물이 존재할 이유가
없다는 말씀 덧붙입니다
여러분~흔치 않는 희소성(희귀성) 예술성 보존상태를 고
려해 보셔도 대단한 기물임을 느껴 지시지요?
크기도 압도적 이나 여러 특징으로 보아 박물관급 상태의
멋진 동경 이라 생각 됩니다
감상해 보시고 소장해 보시길 추천 드리며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고려동경 지름 22.7cm
■오동박스와 진열대 포함가 입니다
감정서 발급일자:2024년8월20일
KBS진품명품 협찬 고미술협회 감정서 첨부로 진품의
설명은 드리지 않습니다
거대한 쌍룡이 튀어 나올듯 꿈틀대며 여의주를 쫓아 원을
그리듯 맴돕니다
중심부의 고리 주변은 연판문이 양각으로 각인 되어 있으
며 구름과 용 여의주를 표현해 보이며 동경의 테두리는
턱을 높게 말아 기품이 더해집니다
용의 상징성과 신분의 높은 지위를 표현한 왕실이나 궁궐의 청동제로 추정 되고 있습니다
평균적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의 동경과 비교시 크기나 두께 문양의 선명함등 보존의 상태가 월등 합니다
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상태로 바늘구멍 크기의 산화 흔적
이외는 깔끔하며 매우 온전한 박물관급 상태 입니다
참고사진의 심한 산화와 깨지고 문양도 알아보기 힘든 같은 고려시대의 동경과 크기와 두께 예술성을 비교해 보시라 함께 올렸습니다
일반적 동경의 사이즈는 약10~15cm 내외가 대다수 입니다~ 소개 올린 고려동경은 23cm 정도로 엄청난 크기라 보셔야 하겠으며 실물은 더욱 크게 보여 지실 겁니
다
여러분~
현대인은 누구나 거울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래전 신라의 여성들도 거울을 사용 했을까?
궁금 하시죠? 그렇지 않다가 정답 이라 보시겠습니다
자료에 의하면 거울(청동경)은 왕이나 그에 준하는 신분만 사용 되었다 합니다
왜? 신라에서 거울은 왕이나 왕자만 가질수 있었을까?
왕비의 고분이 분명한 황남대총 북쪽 무덤에서는 왜? 기물이 출토 되지 않았을까?
그이유는 청동기 시대 거울과 마찬가지로 제의적인 성격이 강했지만 그에 더하여 정치적 권위의 상징물 로서의 성격이 더욱 짙었다 하겠습니다
"삼국시대가 되면 국왕의 정치적 위상은 매우 높아진다
그는 자신의 권위를 드러내기 위하여 조상이 하늘에서 내려 왔음을 강조 하기도 하고 정기적 으로 하늘과 조상에 제사를 지낸다 국왕은 제사를 주도 하였는데 기물은 국왕이 지닌 제의적 성격의 장식물 이었을 것이다"(자료발
췌)
그렇다면~화장용구 로서 거울은 언제 등장 하였고 많은
사람들이 거울을 사용한 시기는 언제부터 였을까? 바로 고려시대 이다
고려시대 에는 우선 거울의 종류가 많으며 고리를 만들고
손잡이를 달아 경대를 멋지게 만들어 기물을 끼워 넣기도
했으며 이 때부터 거울은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매개체 가
아니라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지켜주는 화장용구로 쓰였다 보겠습니다~
즉 청동기 시대 부터 출현한 청동거울은 청동기인들은
온 대지를 밝게 비추는 태양을 숭배 했으며 거울에 반사 되어 눈부시게 빛나는 태양빛을 신비롭게 여겼고 그빛에는 하늘의 메세지가 담겨 있으며 지상에 사는 이들의 소망도 실을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 입니다
당시의 기물은 천상과 지상을 연결해 주는 매개체 였다~
참고로~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에는 금은과 동금속의 가치가 채굴과 제련기술이 발달하지 못하여 현재의 가치 보다 귀했습니다
그러기에 예컨데 조선시대 쌍가락지 은반지를 현재의 은값만 생각해 비교 하시면 국보나 보물이 존재할 이유가
없다는 말씀 덧붙입니다
여러분~흔치 않는 희소성(희귀성) 예술성 보존상태를 고
려해 보셔도 대단한 기물임을 느껴 지시지요?
크기도 압도적 이나 여러 특징으로 보아 박물관급 상태의
멋진 동경 이라 생각 됩니다
감상해 보시고 소장해 보시길 추천 드리며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고려동경 지름 22.7cm
■오동박스와 진열대 포함가 입니다
감정서 발급일자:2024년8월20일
Packaging
Premium packaging service
Learn MoreDelivery
Expected to arrive 7-14 days after ordered
Worldwide Shipping is available
Reliable delivery service with package tracking
Payments
Please note
Bungaejangter Inc. will not be held responsible for any liabilities arising in connection with any transactions between buyers and sellers on this application or website.
Ⓒ 2011-2023. Bungaejangter Inc. all rights reserved.
Korean Site